본문 바로가기
기초/조직학, 병리학 Histology, Pathology

상피의 특성과 종류 Epithelium

by 실험동물수의사: 2021. 11. 23.

Dellmann's textbook of veterinary histology 6th,

상피는 하나의 조직으로 분류된다. 사실상 동물은 상피 epithelium, 결합조직 cennective tissue, 근육 muscular tissue, 신경조직 nervous tissue 네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동물의 장기는 단지 이 네 가지 조직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피는 표면상피(surface epithelium)와 샘 상피(grandular epithelium)로 분류된다. 표면 상피는 동물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샘 상피는 내분비샘과 외분비샘의 분비세포이다. 상피세포의 주요한 특징은 보호(protection), 흡수(absorption), 분비(secretion), 배설(excretion) 선택적 투과를 하기 위한 장벽 형성(barrier)이다. 이렇게 구성된 상피 조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체표면을 덮는다.
  • 샘의 분비세포를 형성한다.
  • 기능적인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 세포각질잔섬유를 가지고 있다.
  • 세포분열을 할 수 있다.
  • 바닥 막에 접촉한다.
  • 혈관 분포하지 않는다.
  • 세 개의 배염에서 각각 발생한다. (three embryonic germ layers)

 

표면 상피 Surface epithelium

표면상 피는 바닥막에 접하고 있는 표면 상피세포가 단층이냐, 여러 겹으로 되어있느냐에 따라서 단층 상피와 중층 상피로 분류되어 있다.

1. 단층편평상피 simple squamous epithelium


얇고 납작하며 물고기 비늘과 비슷한 모양의 상피이다. 핵은 둥글거나 타원형이며 세포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몸통 공간의 장막(serous membrane), 심장 속 표면(internal surface of heart), 혈관과 림프관의 속 공간면(luminal surface of blood and lymph vessel)을 싸고 있다. 복막, 흉막, 심장막 안을 감싸고 있는 단층평편상피는 중피(mesothelium)이라고 하고, 심장, 혈관, 림프관의 속면을 덮는 단층평편상피는 내피(endothelium)이라고 한다.

2. 단층입방상피 simple cuboidal epithelium


세포의 폭과 높이가 대체로 같은 세포가 한층으로 배열되어 있다. 단층입방상피는 많은 샘 관과 신장의 집합관(collecting duct)의 내부를 덮고 있다. 뇌의 맥락 총(choroid plexus), 눈의 섬모체(ciliary body), 갑상샘 소포(follicles of thyroid gland)의 내부를 덮고 있다.

단층입방상피로 구성된 담관과 단층편평상피로 구성된 혈관내피, Liver, H&E, mouse, x350

3. 단층원주상피 simple columnar epithelium


단층원주상피는 세포의 높이가 폭보다 더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핵은 흔히 타원형이며 세포 바닥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흡수 기능이나 분비 기능을 가진 장기의 속 공간면에 위치한다. 주로 소화기관의 luminal surface에 위치한다. 자궁, 난관의 내부도 단층원주상피로 덮여있다.

4. 거짓중층상피 pseudostratified epithelium


거진중층상피는 거짓 중층 원주상피(pseudo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 이행 상피(transitional epithelium) 모든 세포가 바닥막에 접해 있지만 모든 세포의 자유면이 상피의 표면까지 도달하지 않아, 중층처럼 보이지만, 단층으로 이루어진 상피층이다.
거짓중층원주상피 pseudo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
거짓중층원주상피는 단층으로 배열된 세포로 구성되나 세포의 모양과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핵이 여러 수준으로 위치하고 있다. 섬모의 유무에 따라서 구분되기도 한다. 호흡계통의 상피에 많이 존재하며 부고환관과 정관을 덮은 상피도 거짓중층원주상피로 구성된다.

거짓중층원주상피인 기관지, Lung, H&E, mouse, x350

이행상피 transitional epithelium
이행상피는이행 상피는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상피로 요관, 방광, 요도. 콩팥의 내부 등에 위치한다. 이행 상피는 바닥면에서 표면층으로 가면서 세포의 크기가 커진다. 이행 상피의 주요 기능은 방광이나 요관처럼 팽창과 이완이 반복되는 장기에 유동성을 준다는 점이다.

5. 중층편평상피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중층편평상피는 여러 겹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졌으나 표면층의 세포는 편평 세포형인 경우이다. 표면층에 각질 여부에 따라서 각질 중층 편평 상피(keratinized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와 비각질 중층 편평 상피(nonkeratinized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로 나눈다. 중층편평상피는 바닥층(statum basale), 가시층(statum spinosum), 과립층(statum granulosum) 투명층(starum ludicum),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나뉜다.

각질중층편평상피인 피부, Skin, H&E, mouse, x350

6. 중층입방상피 stratified cuboidal epithelium


중층입상상피는 두층 또는 그 이상의 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세포가 입방형인 경우이다. 샘의 배출관의 내면을 구성한다.

7. 중층원주상피 stratified columnar epithelium


원주형의 표면층 세포와 이하 여러 겹의 상피세포로 이루어진 경우이다. 귀밑샘(parotid gland) 하악의 관(mandibular gland)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감각상피 sensory epithelium
눈의 망막(retina), 내이(internal ear), 후각 점막(olfactory mucosa), 맛봉오리(taste bud)에서 관찰된다.

샘상피 glandular epithelium and glands

내분비샘(endocrine gland)과 외분비샘(exocrine gland)의 분비세포는 샘상피(glandular epithelium)를 이룬다. 샘의 경우는 형태학적 특징, 분비되는 분비물의 특성, 분비물의 분비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형태학적 특징
단세포선(홑세포샘, unicellular gland)은 단일 분비세포로 구성되며 잔 세포(배상세포, 술잔 세포 goblet cell)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들은 mucin을 분비하는 역할로 소화계통, 호흡계통, 비뇨생식계통에 전반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다세포선(뭇세포샘, multicellular gland)은 두 개 이상의 분비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의 샘이 여기에 속한다.

댓글